부동산개발
부동산 개발시 시행사의 역할
nhtd
2025. 4. 4. 17:42
반응형
부동산 개발에서 **시행사(Developer)**는 전체 프로젝트의 기획, 자금 조달, 인허가, 분양 및 수익 관리 등 전반적인 프로젝트를 총괄하는 핵심 주체입니다. 시행사의 역할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어요:
🧱 1. 사업 기획 및 타당성 검토
- 입지 분석: 어떤 지역이 개발에 적합한지 조사
- 시장 조사: 수요와 공급, 경쟁 상황 등 분석
- 사업 타당성 분석: 예상 수익, 원가, 리스크 등을 분석해서 사업이 가능한지 판단
📝 2. 인허가 및 법적 절차 진행
- 도시계획, 건축, 환경 등 다양한 행정 인허가 절차를 직접 수행하거나 전문 업체와 협업
- 지역 주민, 지자체와의 협의 등도 포함
💰 3. 자금 조달
- 프로젝트에 필요한 자금을 직접 투자하거나, 금융기관 또는 투자자를 유치해서 확보
- 경우에 따라 프로젝트 파이낸싱(PF) 구조 활용
🏗️ 4. 시공사 선정 및 공사 관리
- 건설사는 시행사가 직접 선정 (보통 입찰을 통해 결정)
- 시공사와 계약을 체결하고, 공정 관리 및 예산 관리
🏘️ 5. 분양 및 마케팅
- 완공 전 또는 후에 분양/임대 전략 수립 및 시행
- 마케팅, 홍보, 분양 대행사 선정 등도 포함
💵 6. 수익 관리 및 정산
- 분양 대금 수령, 수익 배분, 대출 상환, 투자자 수익 분배
- 전체 사업 종료 후 정산 및 프로젝트 종료
📌 정리하면:
시행사는 개발사업의 "총괄 기획자 + 운영자 + 리스크 관리자"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됩니다.
직접 건물을 짓지는 않지만, 땅을 사고, 계획을 세우고, 인허가를 받고, 돈을 모으고, 시공사를 고르고, 다 팔 때까지 책임지는 사람입니다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