부동산리츠

순수임대형 리츠 VS 개발형 리츠

nhtd 2025. 6. 17. 10:54
반응형

순수임대형 리츠와 개발형 리츠는 리츠(REITs)의 운용 방식에 따라 나뉘는 대표적인 두 유형으로, 투자 목적과 리스크 수준, 수익 구조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. 아래에 비교 분석하여 정리해드립니다.


📌 순수임대형 리츠 vs 개발형 리츠 비교

구분 순수임대형 리츠 개발형 리츠
정의 준공 완료된 부동산을 매입하여 임대수익을 추구하는 리츠 미개발 토지 또는 개발 중인 부동산에 투자, 개발 완료 후 임대·매각 수익을 추구
투자 목적 안정적인 현금흐름과 장기 배당수익 확보 개발이익(자본차익) + 향후 임대/매각 수익 추구
리스크 수준 낮음 (운용자산·임대료 고정) 높음 (인허가, 공사, 분양, 시장변동 등)
수익 구조 임대료 수입 → 정기배당 개발이익 + 임대수익 또는 매각차익
투자자 성향 보수적, 안정적 배당 선호 투자자 공격적, 고수익 추구 투자자
자산 예시 오피스 빌딩, 리테일 상가, 물류센터 등 복합단지, 도시개발, 재건축 재개발 프로젝트 등
대표 리츠 롯데리츠, NH프라임리츠 등 제이알글로벌리츠(개발형 비중 일부), 일부 사모개발리츠
수익 실현 시점 자산 보유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개발 완료 후 분양/매각 시점 중심
관리주체 AMC가 자산 운용 및 배당 관리 AMC + 시행사 협업 구조 가능
세제 혜택 배당 90% 이상시 법인세 면제 동일 혜택 적용 (단, 개발수익 변동성 고려 필요)

 


✅ 부동산 개발사 관점 활용 전략

전략 설명
순수임대형 리츠 활용 준공 후 자산을 리츠에 편입 → 장기 보유하며 임대수익 + 리츠 배당 수익 확보
개발형 리츠 활용 초기 부지 매입 단계부터 리츠로 조성하여 개발 자금 유치 → 향후 분양/매각으로 자본차익 실현

 


🔍 실무 팁

  • 순수임대형 리츠PF 자금 상환 후 자산 매각 대안으로 활용 가능
  • 개발형 리츠시행 리스크 회피와 투자자 분산 구조로 유리하지만
    → 사업 구조 설계, 인허가 리스크 관리, AMC와의 협업 구조 설계가 핵심

 

*출처 : Chat GPT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