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DSR(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, Debt Service Ratio)은 개인의 연간 소득 대비 모든 대출의 원리금 상환액 비율을 의미합니다.
즉, 한 해 버는 돈 중에서 대출 갚는 데 얼마나 쓰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.
🔹 DSR 공식
🔹 구성 요소
항목 | 내용 |
총 원리금 상환액 | 주택담보대출, 신용대출, 자동차할부, 학자금대출 등 모든 대출의 원금 + 이자 상환액 |
총소득 | 근로소득, 사업소득, 임대소득 등 금융기관이 인정하는 연간 소득 |
🔹 DSR 규제 목적
- 과도한 대출 억제: 차주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 내에서만 대출을 받게 하려는 제도
- 가계부채 안정화: 경제 전반의 부채 증가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금융정책 도구
🔹 관련 개념 비교
구분 | DTI | LTV | DSR |
의미 | 총부채상환비율 | 담보인정비율 |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|
산정 기준 | 소득 대비 이자+일부 원금 | 담보가치 대비 대출비율 | 소득 대비 전체 원금+이자 |
적용 범위 | 주택담보대출 위주 | 주택 담보가치 중심 | 모든 대출 포함 |
🔹 예시
- 연소득: 6,000만원
- 연간 원리금 상환액: 2,400만원
- ➤ DSR = (2,400 / 6,000) × 100 = 40%
*출처 : Chat GPT
반응형
'부동산개발 > 6. 자산관리 및 운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지분형 모기지(Shared Equity Mortgage) (0) | 2025.05.12 |
---|---|
DSR 3단계 규제 (0) | 2025.05.06 |
임차권등기 절차 (0) | 2025.04.16 |
임차권등기 (0) | 2025.04.16 |
부동산 개발 후 임대관리법 (0) | 2025.04.15 |